728x90

문화유산 둘러보기 13

창경궁 궁궐야행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에 있는 창경궁은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의 거처를 마련하기 위해 1419년(세종1년)에 세종이 수강궁을 지었는데 1484년(성종 15년)에 수강궁 자리에 새롭게 별궁으로 중건하면서 창경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년)에 다시 세웠으나 1624년(인조 2년)에 이괄의 난으로 많은 전각들이 소실된 것을 1633년에 중건했다. 1656년(효종 7년)에 요화당, 난향각, 취요헌, 계월각 등 4개의 전각을 더 지어 효종의 네 공주들을 머물게 했다.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은 보물 제 384호로 1484년에 건립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16년에 중건되었다. 중층 우진각지붕 건물로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과 비슷한 모양이다. 1909년..

칠궁

서울시 종로구 창의문로 12(궁정동)에 있는 '칠궁'은 조선시대 왕이나 사후에 추존된 왕을 낳은 친모이지만 왕비에 오르지 못한 후궁 7인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현재 조선 정궁인 경복궁의 뒷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청와대 영빈관과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 칠궁의 시작은 숙종의 둘째아들이었던 연잉군이 1725년 영조로 왕위에 오르자 어머니를 위해 사당을 짓고 처음에는 '숙빈묘'로 그 후에 '육상묘'로 했다가 1756년에 '육상궁'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육상궁'은 왕을 낳은 후궁 7명의 신위를 모시게 되면서 '칠궁'으로 블리게 되었다. 고종때인 1870년 여러 군데에 흩어져 있던 후궁들의 사당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1878년 '육상궁'에 화재가 나서 고쳐 지었으며 1882년 또 다시 화재가 발생해 신..

청와대 관람

청와대 관람을 하기 위해 수차례 사전예약 신청을 한 끝에 2022년 6월 26일 09시부터 마침내 청와대 관람을 하게 되었다 사전예약을하고 입장시간 전에 도착을 했는데도 정문으로 입장하기 위해 30분 가까이 줄을 서서 기다렸다. 청와대로 입장할 수 있는 문은 정문과 춘추문 그리고 영빈문이 있는데 3곳 모두 입장을 기다리는 줄이 장사진을 이루고 기다리는 시간은 별반 차이가 없이 비슷하다고 했다. 집에서 출발해 2시간여만에 도착한 청와대 본관 전경은 잘 가꾸고 다듬어진 조경과 잔디밭이 멋 있었다. 정문에서 바코드로 사전예약자임을 확인하고 곧바로 또 본관 내부관람을 하기위해 끝도 안보이는 줄을 섰다. 30여 분을 줄서서 기다린 끝에 본관 입구에 도착했다. 줄을 서서 기다릴 때부터 내부 관람을 할 때도 일방통행..

728x90